본문 바로가기

03번. 실용적 독서

[Book] 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 2 [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는 그 구성 방식이 마음에 든다. 우선 각 챕터의 내용을 살펴보면 인문학 작품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함께 작가의 의견이 더해진다. 그래서인지 내가 읽은 작품에 대해서는 정리를 하는 기분이고, 모르는 작품에 대해서는 한 번 눈여겨 보게 되고 미리 눈길한 번 주는 그런 기분이랄까~ 책을 읽을 때, 책에서 오는 임팩트있는 단어라든가 무엇인가가 있는것 같다. [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2]에서 그런 느낌을 받은 단어는 '자조론', '징비록' 이었다. 자조론의 경우는 자기계발에 관한 내용이 그렇게 오랫동안 영향력을 미쳤는지 그 이유를 살펴보고 싶어졌다. 징비록은 몇 페이지 되지 않는 내용이었지만 준비되지 않은 자들의 처절함과 안타까움 그리고 반성이 담겨져 있어, 반드시 읽어보아야 .. 더보기
[Book] 디퍼런트 (Different) 오랜만에 경영 관련 책을 읽었는데 나에게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는 그런 의미있는 책이었다고 생각한다. 나는 바로 그 생각할거리를 제공해주는 그런 책들이 좋다. 이 책을 읽어내려가면서 '오호~', '어라~' 이런 내 나름의 반응을 하며 읽어 내려갔다. 이 책의 핵심 내용은 바로 이 책의 부재인 '넘버원을 넘어 온리원으로'가 모든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하지만 항상 우리가 어려운 것은 'How to'가 아닌가? 분명 나 역시 지금 이 조직의 인력 중 하나의 카테고리에서 머물고 있는 그런 존재일 것이다. 여기서 바로 나만의 Different를 찾아야 한다. 항상 이 문제에 대해서 생각해보고 생각해 보았는데, 다시 나에게 상기시켜 주고 나름의 How to를 제시해 준 것 같아서 마음에 든다. 차별화는 전술이 아니.. 더보기
[Book] 제대로 시켜라 원칙1 : '업무지시'하지 말고 '공감목표' 소통하라 1. 어떤 결과물을 원하는지 구체적으로 그려줘라. 2. '열심히'가 아니라 '제대로'에 성과기준을 맞춰라. 3. 구성원이 아닌 리더가 기대하는 목표를 공유하라. 4. '과거실적'이 아니라 '5년 후 미래'를 기준으로 목표를 설계하라. 5. 목표가 예측 가능하고 측정 가능해야 구성원들이 믿고 따른다. 6. 미들 업 다운 목표설정으로 타당성을 확보하라. 7. 통제할 수 없는 목표는 처음부터 부여하지 마라. 원칙2 : 어설픈 '의지' 대신 '하우투'를 확인하라. 1. 질문을 통해 '성과 설계도'를 완성하라. 2. 98%설명에 만족하지 말고 한번 더 코칭하라. 3. '나무'는 실무자에게 맡기고 당신은 '숲'을 보라. 4. 시간과 돈은 항상 모자라다, 어떻게 .. 더보기
[Book] 고구려1 (김진명) 2011/08/17 오전 10시 어제 아침 Yes24에서 어떤 책을 고를까 한 참 고민하다가 고구려 1,2,3 을 주문했다. 최근에 로마인 이야기, 십자군 이야기 같은 서양사 관련 책을 읽다가 김진명 작가 말대로 우리의 역사가 궁금해졌고, 소홀해짐에 자각이라도 한 듯 선택하게되었다. 그리고 오늘 아침 출근 길 딱 100 page를 읽고 이렇게 몇 자 적어본다. 우선 새로운 인물에 대한 흥미가 가장 컸다고 생각된다. 다른 사람에게는 몰라도 나에게는 그랬다. 그만큼 우리의 역사 고구려에 대해 무관심했던 것이다. 김진명 작가의 책은 거의 모두 읽은 듯 하다. 때로는 너무 민족주의적인 색채가 강해서 이 책도 그런 것은 아닐까 하는 마음을 가지고 책을 펼쳤다. 하지만 지금 막 100 page를 읽어내려간 시점에서.. 더보기
[Book] 나는 탁월함에 미쳤다. p20 아는 것과 실행하는 것 사이에는 커다란 간극이 존재한다. '이것이 기회다'라고 판단하고 그것을 잡기 위해 행동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은 이성이나 논리 혹은 지식의 문제만이 아닌, 본능적인 반응에 가깝다. 평소에 작은 기회들을 포착해 내 것으로 만드는 데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이라면 큰 기회가 오더라도 잡기가 쉽지 않다. 살아오면서 그간 여러 번의 기회를 잡았던 내 경험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이 있다면 바로 '충분히 연습이 되어 있는 사람이 기회를 잡는다'는 것이다. 작은 기회라도 잡는 훈련을 일상에서 행하는 이들만이 중간 기회도 잡을 수 있고 큰 기회도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때 그걸 잡았어야 했는데......'하는 아쉬움을 반복하는 사람이라면 평소에 작은 기회를 잡는 일에도 그다지 익숙지 않을.. 더보기
[Book] 구본형, 그대 스스로를 경영하라. 항상 무엇인가를 공부할 때, 가장 먼저 나오는 것은 바로 '정의'이다. 어떤 것에 대한 정의를 기초로 그것에 대한 내용을 풀어 나간다. 그렇기 때문에 처음에 무엇인가를 어떻게 정의하는 것은 앞으로 진행될 내용의 가장 중요한 토대를 마련해 주는 것이다. 좁게는 직장에서, 조금 넓게는 내가 살아가는 이 사회에서 과연 '나'를 어떻게 정의해야 할까? 분명 한 직장의 고용인으로 정의하면 나는 그 정도의 범위에서 밖에 생각할 수 없을 것이다. 나는 분명 이 사회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심에 서 있는 인물이며, 자존감과 실력을 바탕으로 나를 경영하는 사람임을 잊지 않도록 한다. 나는 바로 나다. 다른 어떤 표현도 없이 단지 내 마음 속의 작은 외침과 소리를 듣고 나아가려 한다. --------------------.. 더보기
KT경제경영연구 디제에코 - 여름휴가 추천 도서 element Font font-family font-size font-style font-variant font-weight letter-spacing line-height text-decoration text-align text-indent text-transform white-space word-spacing color Background bg-attachment bg-color bg-image bg-position bg-repeat Box width height border-top border-right border-bottom border-left margin padding max-height min-height max-width min-width outline-color outline-styl.. 더보기
[Book] 십자군 이야기 1 ---------------------------------------------------------------------------------------------------------------- ▶ 내용 설명 '독일에서 비밀리에 이탈리아로 들어온 황제는 교황이 체제중인 카노사 성 앞에 섰다. 죄를 뉘우치고 용서를 구하는 자답게 얇고 수수한 옷차림으로 줄기차게 쏟아지는 1월의 눈을 맞으며 내내 맨발로 서 있었다.' 교황이 황제를 파문한 세기의 사건. 그로 인해 황제가 대망신을 산 사건. 우리가 고등학교에서 배운 '카노사의 굴옥'이다. 주교를 임명하는 서임권을 둘러싼 이 싸움에서 교황이 승리했다. 그러나 그 후는 ~ 초유의 사건 이후 파문 당한 하인리히 황제는 '가해자' 교황 그레고리우스7세에 단단히.. 더보기
[Book] 실행이 답이다 로드맵 문제해결방법 역산스케쥴 자기동기화 파생효과노트 행동모멘텀기법 데드라인설정 실험정신 질문요청 자기감찰 자기규정 NO권리 효율성&효과성 촉발자극 상대설득 가르침 로드맵 첫째, 잠시 하던 일을 멈추고 이루고 싶은 꿈이나 목표를 떠올려보자. 그리고 현재의 이곳(출발점)에서 원하는 그곳(최종목표)에 이르는 과정을 마음속으로 그려보자. 둘째. 최종목표와 목표달성 연도 및 나이를 기입한다. 셋째, 최종목표로부터 거꾸로 거슬러오면서 반드시 거쳐야 할 중간 목표들과 출발점에 현재 하고 있는 일과 연도 및 나이를 기입한다. -> 다 그린 후, 목표달성방법과 예상되는 문제, 그에 대한 대비책을 찾아보고 목표달성을 위해 오늘 해야 할 일 한 가지를 찾아 실천에 옮겨 보자. 그리고 내가 목표로 설정한 것이 이미 이룬 사.. 더보기
[Book] The One Page Proposal 내 방 서재를 보면 책꽂이의 두 칸은 내가 생각하는 나만의 베스트셀러를 위한 공간이다. 그곳을 보면 항상 이 책이 눈에 보인다. 입사해서 처음으로 접하게 책이다. 회사에서 이메일을 작성하거나 무엇인가 정리하고자 할 때 정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내 생각을 구체적이고 그리고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하는 틀을 제공해 준다. 아마도 이 책은 베스트셀러 칸에서 없어지지 않을 것이다. 1. 제목 : 스토리의 헤드라인 ▶ 완성된 자료에는 항상 제목이 있고, 위치는 맨 위이다. 제목은 글의 성격을 알려 주는 헤드라인이다. 그리고 그것은 신문의 헤드라인과 역할이 같다. 독자에게 앞으로 전개될 이야기가 무엇인지 한 눈에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목은 완.. 더보기